9월은 토지와 주택에 대한 재산세를 납부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. 하지만 단순히 세금을 납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활용하면 더 큰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 카드 납부 방법과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을 활용하면 더 큰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. 2024년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자세히 살펴보고 세금을 납부하면서도 현금 캐시백, 무이자 할부 등 다양한 혜택을 챙길 수 있는 기회를 잡아 보세요!
1. 재산세 납부 기간과 방법
재산세는 매년 두 번, 7월과 9월에 납부해야 합니다. 9월에는 주택과 토지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는 시기입니다. 2024년 9월의 납부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토지 : 9월 16일 ~ 9월 30일
- 주택 제2기분 : 9월 16일 ~9월 30일
재산세를 납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답니다.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인터넷을 통한 납부입니다. 위택스, 서울시 ETAX, STAX(모바일 앱) 등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은행이나 ATM을 통해 직접 납부하거나 ARS를 이용한 납부도 가능합니다.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으니, 본인에게 가장 편리한 방법을 선택해 보세요.
위택스 재산세 납부 바로가기
CHECK POINT_재산세 납부 방법 1. 인터넷 납부 : 위택스 (wetax), 서울시 ETAX, STAX(모바일 앱) 2. 은행/ATM 납부 3. ARS 납부 |
2. 카드사별 재산세 납부 혜택
재산세를 카드로 납부하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, 카드사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각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신한 개인 체크카드로 지상세 납부 시 납부금액의 0.1% 현금 캐시백 제공(24.10.8 캐시백 지급 예정)
혜택 |
유의사항 |
납부금액의 0.1% 캐시백 제공 |
체크카드로 납부가 아닌 현금(통장자동이체)납부 시 지금대상 제외 |
- 재산세 납부 시 부분무이자할부(10/12개월) 혜택 제공
- 혜택 기간 : ~24.9.30
혜택 |
유의사항 |
부분무이자할부 10개월 |
1~4회차 유이자, 5~10회차 무이자 혜택 |
부분무이자할수 12개월 |
1~5회차 유이자, 6~12회차 무이자 혜택 |
국세&지방세 5만 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무이자(최대 4개월). 부분무이자(최대 10개월) 혜택 제공
혜택 기간 : ~24.12.31
혜택 |
유의사항 |
무이자할부 혜택 |
2~4개월 |
부분무이자할부 혜택 |
5~6개월 할부 시 1,2회차 수수료 고객부담 7~10개월 할부 시 1,2,3회차 수수료 고객부담 |
국세&지방세 5만원 이상 할부 결제 시 부분 무이자할부 혜택 제공
혜택 기간 : ~24.9.30
혜택 |
유의사항 |
부분무이자할부 10개월 |
5회차부터 할부 수수료 면제 |
부분무이자할부 12개월 |
6회차부터 할부 수수료 면제 |
- 마이태그 후 BC그린카드로 국세. 지상세 결제 시 에코머니포인트 적립(24.10.31 포인트 적립 예정)
- 혜택 기간 : ~24.9.30
혜택 |
유의사항 |
에코머니포인트 2천점 ~ 3만점 적립 |
마이태그 신청 필수 |
0123
재산세 카드납부 혜택 모음
마치며
2024년 재산세 납부는 카드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, 다양한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통해 추가적인 이익을 누릴 수 있습니다. 세금을 납부하면서도 현금 캐시백, 무이자 할부, 포인트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챙길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. 카드사 이벤트를 잘 활용하여 현명하게 세금을 납부하고, 더 나은 재정 관리를 실천해 보세요. 9월 재산세 납부를 준비하면서, 스마트한 소비로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잊지 마시기 바라요